주식 왕초보를 위한 주식 용어 총정리 (필수 50선)

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싶은데 ‘KOSPI’, ‘PER’, ‘예수금’처럼 알 수 없는 용어들 때문에 막막하신가요? 주식 시장에 처음 입문하는 ‘주식 왕초보’에게 가장 큰 진입 장벽은 바로 낯선 전문 용어입니다.

이 글에서는 주식 왕초보가 투자를 시작하기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용어 50가지를 6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총정리했습니다. 이 용어들만 확실히 이해해도 주식 관련 뉴스를 읽고, 투자 정보를 판단하는 데 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1. 주식 투자, 이것부터 알자 (기본 용어 8선)

투자를 시작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용어들입니다.

1. 주식 (Stock): 기업이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. 주식을 사면 해당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‘주주’가 됩니다.

2. 주주 (Shareholder): 주식을 보유한 사람. 기업 이익에 대한 배당을 받거나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습니다.

3. 증권 (Securities): 주식, 채권 등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증서입니다.

4. 증권사 (Brokerage): 주식을 사고팔 수 있도록 중개해주는 회사. (예: 키움증권, 삼성증권, NH투자증권 등)

5. 계좌 (Account):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에 개설하는 전용 계좌입니다.

6. 예수금 (Deposit): 주식 거래를 위해 계좌에 입금해 둔 현금.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대기 자금입니다.

7. 증거금 (Margin): 주식을 사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현금. (보통 100% 증거금은 주식 가격만큼 현금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.)

8. 상장 (IPO – Initial Public Offering): 기업이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 판매하고 증권 시장에 등록하는 것. ‘기업 공개’라고도 합니다.

2. 지금 시장은? (시장 및 지수 용어 7선)

뉴스에서 매일 나오는 시장의 흐름을 읽는 용어입니다.

9. 주식 시장 (Stock Market):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. 크게 ‘거래소(코스피)’와 ‘코스닥’ 시장으로 나뉩니다.

10. 코스피 (KOSPI): ‘거래소’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수. (주로 대기업, 우량주)

11. 코스닥 (KOSDAQ): ‘코스닥’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 지수. (주로 중소기업, 벤처기업, IT 기업)

12. 시가총액 (Market Cap): 상장된 주식의 총 가치. ‘현재 주가 x 총 주식 수’로 계산하며, 기업의 규모를 나타냅니다.

13. 상장폐지 (Delisting): 특정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될 자격을 잃고 퇴출당하는 것.

14. 우량주 (Blue Chip): 재무 상태가 건전하고 수익성이 좋은 대형 기업의 주식. (예: 삼성전자, 현대차 등)

15. 테마주 (Theme Stock): 특정 사회적 이슈나 정책(예: AI, 저출산, 원전)과 관련되어 주가가 함께 움직이는 종목들.

3. 사고팔기 (주문 및 거래 용어 13선)

실제 HTS나 MTS(증권사 앱)에서 주식을 거래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.

주문

16. 매수 (Buy): 주식을 사는 것.

17. 매도 (Sell): 주식을 파는 것.

18. 호가 (Quote): 주식을 사거나 팔기 위해 제시하는 가격. (매수 호가: 사려는 가격, 매도 호가: 팔려는 가격)

19. 시장가 (Market Order):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,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즉시 체결시키는 주문.

20. 보통가 (Limit Order) / 지정가: 매수 또는 매도할 가격을 ‘지정’하여 주문하는 방식. (가장 보편적인 주문)

21. 체결 (Execution): 매수 주문과 매도 주문이 일치하여 거래가 성사되는 것.

시세

22. 시가 (Opening Price): 하루의 주식 시장이 열릴 때(오전 9시) 처음으로 결정되는 가격.

23. 종가 (Closing Price): 하루의 주식 시장이 닫힐 때(오후 3시 30분) 마지막으로 결정되는 가격.

24. 고가 (High Price): 하루 중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.

25. 저가 (Low Price): 하루 중 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.

26. 상한가 / 하한가 (Price Limit): 주가가 하루에 오르내릴 수 있는 최대폭. (현재 한국은 ±30%입니다.)

27. VI (Volatility Interruption): ‘변동성 완화 장치’. 주가가 너무 급격하게 변할 때 잠시 거래를 중단시켜 시장을 안정시키는 제도.

28. 공시 (Disclosure): 기업이 투자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(예: 실적, 계약)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.

4. 이익과 손해 (수익 관련 용어 7선)

투자의 목적은 수익입니다. 수익과 손실에 관련된 용어입니다.

29. 수익률 (Rate of Return): 투자 원금 대비 벌어들인 수익의 비율. (예: 100만원 투자해서 10만원 벌면 수익률 10%)

30. 익절 (Take Profit): 이익을 보고 있는 주식을 팔아 수익을 확정하는 것.

31. 손절 (Stop Loss): 손해를 보고 있는 주식을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파는 것.

32. 배당 (Dividend):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.

33. 배당락 (Ex-Dividend):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진 날. 이날 주식을 매수하면 배당을 받을 수 없으며, 보통 배당금만큼 주가가 하락합니다.

34. 배당수익률 (Dividend Yield): 현재 주가 대비 1주당 받는 배당금의 비율. (은행 이자율과 비교하기 좋습니다.)

35. 신용/미수 (Credit/Margin):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자기 돈보다 더 많은 금액의 주식을 사는 것. (초보자에게는 매우 위험합니다.)

5. 이 기업, 좋은 기업일까? (기업 분석 용어 8선)

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핵심 지표입니다. ‘저평가’ 주식을 찾는 기준이 됩니다.

36. PER (Price-to-Earnings Ratio) / 주가수익비율: 현재 주가를 ‘주당순이익(EPS)’으로 나눈 값. 기업이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싼지 비싼지(고평가/저평가) 보는 지표. 낮을수록 저평가로 봅니다.

37. PBR (Price-to-Book Ratio) / 주가순자산비율: 현재 주가를 ‘주당순자산(BPS)’으로 나눈 값. 기업의 자산(청산 가치) 대비 주가가 싼지 비싼지 보는 지표. 낮을수록 저평가로 봅니다.

38. ROE (Return on Equity) / 자기자본이익률: 기업이 자기자본(주주의 돈)을 가지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지표. (높을수록 좋음)

39. EPS (Earnings Per Share) / 주당순이익: 기업의 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.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냅니다.

40. BPS (Book-value Per Share) / 주당순자산: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(자본)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. 기업 청산 시 1주당 받을 수 있는 가치.

41. 공매도 (Short Selling):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,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판 뒤 나중에 싼 가격에 사서 갚아 차익을 얻는 투자 방법.

42. 펀드 (Fund):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전문가(펀드매니저)가 대신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주는 금융 상품.

43. ETF (Exchange Traded Fund) / 상장지수펀드: 코스피 지수나 특정 산업(예: 반도체)처럼 여러 종목을 묶어서,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게 만든 펀드. (초보자에게 추천됩니다.)

6. 차트 읽기 (기술적 분석 용어 7선)

주가의 과거 흐름을 보여주는 ‘차트’를 분석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.

44. 차트 (Chart): 주가의 움직임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.

45. 캔들 (Candle): 하루 동안의 시가, 종가, 고가, 저가를 하나의 ‘양초’ 모양으로 표시한 것. 봉 차트라고도 합니다.

46. 양봉 (Bullish Candle): 주가가 오른 날. 종가가 시가보다 높을 때 (보통 빨간색으로 표시).

47. 음봉 (Bearish Candle): 주가가 내린 날. 종가가 시가보다 낮을 때 (보통 파란색으로 표시).

48. 거래량 (Trading Volume): 하루 동안 주식이 사고 팔린(체결된) 총 수량. 주가 상승 시 거래량이 많으면 좋게 해석됩니다.

49. 이동평균선 (Moving Average): 일정 기간(예: 5일, 20일, 60일)의 주가 평균을 계산하여 선으로 연결한 것. 주가의 전반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.

50. 정배열 / 역배열: 정배열은 단기-중기-장기 이동평균선 순서로 위에서부터 나열된 상태(상승 추세), 역배열은 그 반대(하락 추세)를 의미합니다.

마무리: 용어 정복, 성공 투자의 첫걸음

주식 왕초보를 위한 필수 용어 50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 처음에는 이 많은 용어가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모든 용어를 한 번에 외우려 하지 마시고, 실제 HTS나 MTS를 켜서 직접 용어를 찾아보고, 소액으로 투자를 경험하며 천천히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용어 가이드가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의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.

댓글 남기기